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KLI 발간물

  1. 메인
  2. KL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KLI 연구보고서정책자료 2023-06

제조업 엔지니어 연구: 디지털 전환(DX)과 전망

청구기호
정책자료 2023-06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 2023
형태사항
147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 포함
ISBN
979112600698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18756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1875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1875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1875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1. 제조업 디지털 전환(DX) 제조업 엔지니어 연구 시리즈는 기계산업(2020), 특수화학산업(2021)을 사례연구로 다루면서 한국 제조업 엔지니어의 산업 및 기업 내 위상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조 혁신을 위한 여건, 맥락과 환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엔지니어 노동시장 분석(2022)을 통해 인력 수요와 공급 관점에서 한국 제조업의 현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한국 제조업의 과거와 현재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마지막 해를 맞이한 본 연구 시리즈는 한국 제조업이 나아가야 할 미래에 초점을 맞춘다. 이에 본 보고서는 한국 제조업이 맞이할 미래의 핵심 키워드를 디지털 전환(DX:Digital Transformation)으로 보고 이를 연구의 주된 주제로 삼았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이 기존의 생산 및 관리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디지털 전환(DX)으로 통칭할 수 있다. 제조업 디지털 전환은 제조 과정의 모든 측면에 디지털 기술을 통합시켜 유연성, 연결성, 효율성, 생산성 향상을 통해 제조 혁신을 추구한다.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로봇 등을 활용한 공장 자동화, 3D 프린팅,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과 같은 하드웨어 중심의 변화,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인공 지능(AI) 활용,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활용과 같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변화를 모두 포괄한다. 생산 과정을 최적화하고 의사결정을 개선하며 제품 품질을 향상하고 전반적인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umbrella concept)이다. (중략) 5. 정책 시사점 디지털 전환(DX)이 한국 제조업의 미래에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다면, 우리는 어떠한 관점과 접근이 필요한가? 가. 제조기업과 현장 중심의 디지털 전환 디지털 전환이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국, 독일, 일본 등 제조 강국과의 격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퀀텀 점프(quantum jump)라면, 정부에서 적극 나서서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2022년 7월 5일부터 시행된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은 그러한 시도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해당 법은 산업 디지털 전환 정책의 수립, 산업 데이터 활용 생태계 조성, 산업 디지털 전환 선도 사업의 지원, 산업 디지털 전환 기반 조성 및 활성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제조업뿐만 아니라 한국 산업 생태계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데이터 및 인프라 구축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즉, 디지털 전환의 총론에 해당하는 법이다.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는 제조업 디지털 전환의 각론이 필요하다. 사무직(white collar) 직무 및 업무와 달리, 제조업 현장의 직무 및 업무는 범용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도 쉽게 해결할 수 없는 여러 문제와 쟁점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총론에 따라 디지털 전환의 데이터 및 인프라가 구축되더라도, 각 제조기업과 현장이 마주할 디지털 전환 문제는 일종의 맞춤형 접근과 해결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총론의 문제의식에서 더 나아가 산업 전체와 현장의 엔지니어를 매개하는 중간 층위(meso-level) 조직에 해당하는 기업 내에서 디지털 전환이라는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조직이 중요하다(organi- zations matter). 제3장에 살펴본 대로 AI 도입 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쟁점 중 제조 현장과 관련된 문제는 데이터 수집 및 변수 포착의 한계, 범용 AI의 지나치게 큰 규모와 복잡성이다. 아울러 제조기업과 관련된 문제는 기존 경험의 관성과 조직 구조의 저항, 기존 체계의 경로의존성 및 한계다. 제조 현장과 제조기업이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약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론 성격의 법과 제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기존 경험의 관성과 조직 구조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기업 주요 의사결정자들이 디지털 전환을 강력히 추진하고 이를 조직 내부의 과업 및 보상 체계에 반영해야 하는데, 이를 유도하고 촉진할 방안이 필요하다. 조직 내 직무, 보상을 포함한 인사 체계 전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강력한 유도 및 촉진책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기존 설비와 장비의 안정성을 일시적으로 위협할 수 있는 신기술 도입에 제조기업과 현장의 관리자, 엔지니어 모두 열린 마음으로 디지털 전환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 디지털 문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 강화 본 보고서의 연구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쟁점이 바로 제조업 도메인(domain) 지식과 숙련을 갖춘 엔지니어가 제조기업과 현장에서 절실하다는 것이다. 제2장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AI 모델링에 능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인력난이 제조업계에서 심각한데, 이는 제조기업과 현장의 도메인 지식을 갖춘 엔지니어가 적절한 디지털 문해력을 바탕으로 기업과 현장에 특수한(firm- and site-specific)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할 때 비로소 해소될 수 있다. 즉, 소프트웨어 개발자 인력을 대량으로 양성하여 제조업계에 공급한다고 해서 해결될 수 있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정리하면, 제조 엔지니어 ‘장인’들이 보유한 암묵지와 숙련을 중시하면서 해당 인력들의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을 높이고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즉, 디지털 전환(DX)을 위해 기존 숙련 엔지니어 인력을 재교육하고 현장의 문제 해결(problem solving)에 초점을 맞춘 역량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 AI 기술 그 자체보다는 이를 제조기업과 현장에 적합하게 활용하는 역량을 어떻게 키울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즉, 수행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oing), 프로젝트 수행 역량(project ution cap- ability) 강화가 핵심이다. 이는 결국 제조기업과 현장에서 주목해야 할 사안이면서도 동시에 이들을 둘러싼 지역사회와 소재 대학의 역할이 재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제조기업과 현장을 배후에 둔 대학을 엔지니어 재교육과 평생 교육의 중심지로 재탄생시켜 디지털 문해력을 높이고 관련 역량을 강화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 약 i 제1장 서 론 (이상준) 1 제1절 연구 배경과 주제 1 제2절 연구 질문과 보고서의 구성 2 제2장 디지털 전환과 제조업 엔지니어 실태조사 (조성재) 4 제1절 문제의 제기와 조사의 개요 4 제2절 경영 특성과 인적자원관리의 기초분석 8 제3절 디지털화에 대한 개인들의 대응 태세 17 제4절 디지털화 결정 요인 등 관련 회귀분석 26 제5절 소 결 37 제3장 AI와 제조업 디지털 전환 (이요한ㆍ이상준) 40 제1절 인공지능의 등장과 제조업 혁신 40 제2절 M사 사례 연구 44 제3절 국내외 기업 사례 61 제4절 소 결 69 제4장 조선업 디지털 전환(DX)과 엔지니어 (박종식) 72 제1절 최근 조선업 동향과 미래의 조선산업 72 제2절 선박 엔지니어링 특성과 디지털 전환의 영향 83 제3절 조선업 전장설계 엔지니어링 특성 92 제4절 소 결 100 제5장 결 론 (이상준) 102 제1절 내용 요약 102 제2절 정책 시사점 109 참고문헌 112 [부록 1]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인적자원관리 조사」(개인용) 116 [부록 2]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인적자원관리 조사」 (인사관리자용)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