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KLI 발간물

  1. 메인
  2. KL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KLI 연구보고서정책연구 98-09

성과배분제도의 도입실태와 개선방안

저자
박우성
청구기호
정책연구 98-09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1998
형태사항
72 p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01875대출가능-
지금 이용 불가 (1)
한국노동연구원52001876대출중2014.02.14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018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5200187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14.02.14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 성과배분제도의 긍정적 효과 - 동기부여를 통한 종업원의 만족과 사기진작 및 근로의욕 고취 - 노사간의 협력 증진 및 생산성 향상효과 우리나라 기업들의 성과배분제 운용 실태 및 문제점 - 비제조업체보다 제조업이, 대규모 업체보다 중소규모 업체가, 노조가 있는 기업보다 노조가 없는 기업에서의 성과배분제도의 운영 및 효과가 성 공적임 -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적 성격에 의한 성과상여금의 반기별 혹은 분기별에 따른 차등지급이 성공적 운용 시사 - 성과배분제의 도입동기가 임금협상을 위한 편법적인 수단으로서의 도입 및 운용 문제 - 잘못된 도입동기, 사전 준비의 부족, 기존의 복잡한 임금체계 등에 의한 성과배분제도의 고정급화 문제 - 성과배분제도에 대한 인식 및 정보 부족으로 인한 성과산정 지표 결정 문제 ○ 우리나라 성과배분제도의 사례분석 ○ 성과배분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본 방향 - 동기부여를 통한 생산성 향상의 목적을 위한 명확한 도입동기 확립 - 노사신뢰에 기초한 성과배분제 도입 및 노사합의를 통한 성과지표 모색 - 실질적인 동기부여 효과를 위한 도전적이고 현실적인 성과목표 제시 - 제도에 대한 투명하고 지속적인 정보 제공 및 임금체계의 단순화

목차
Ⅰ. 서론 Ⅱ. 성과배분제도의 개념과 효과   1. 성과배분제도의 개념   2. 새로운 경영환경과 성과배분제도   3. 성과배분제도의 동기부여   4. 성과배분제도의 효과 Ⅲ. 성과배분제도의 도입 및 운용실태   1. 조사 개요   2. 성과배분제 도입 및 운용현황   3. 업종별ㆍ규모별ㆍ노조유무별에 따른 성과배분제 운용실태  4. 종합적 비교   5. 운영 및 효과의 영향요인   6. 결과의 요약 Ⅳ. 성과배분제도 사례분석  1. 성공적인 성과배분제 운영기업  2. 운영은 잘되고 있으나 효과가 높지 않은 기업   3. 운영도 잘 안되고 효과도 낮은 기업   4. 성과배분제 중단기업   5. 사례연구의 시사점 Ⅴ. 성과배분제도의 개선방안   1. 명확한 도입 동기   2. 합의된 성과지표   3. 도전적이고 현실적인 성과목표   4. 투명하고 지속적인 정보제공   5. 임금체계의 단순화   6. 노사간 신뢰와 성과배분제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