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KLI 발간물

  1. 메인
  2. KL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정책연구 2009-16

직업교육기관 교원 역량 강화 방안: 전문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청구기호
정책연구 2009-16
발행사항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형태사항
309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포함
ISBN
9788963550619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1381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1381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학령 인구의 감소, 고령자 인구 비율의 증가 등과 같은 인구 구조의 변화, 서비스직 전문직 비중의 확대 등 산업 고용 구조의 변화, 직업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문화적 인식 등은 직업 교육의 중심 기관인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적 역활과 기능에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8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직업 교육의 질적인 변화와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문성을 갖춘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이다. 전문계 고등학교의 중심으로 한 직업 교육 교원은 산업 현장의 기술 수준 변화를 비롯하여 사회적 수요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에 따라 직업 교육 교원이 교육의 전문성과 현장성을 담보하기 위해 개발하고 강화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규정하고, 교원의 양성과 향상 단계에서 어떠한 변화가 요구되는지를 파악하여, 정밀 진단을 통해 종합적인 정책적 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의 중요성과 의미,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현황과 교원교육시스템 분석, 직업 교육 교원의 현황 분석, 양성 교육 시스템 분석과 직업 교육 교원의 향상(연수) 교육 시스템 분석, 선진국의 중등 단계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기준과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 및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 결과들은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정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내용 - 직업 교육 교원 역량의 개념과 유형 분석 - 직업 교육 교원 역량 변화에 따른 시사점 - 직업 교육 교원 현황과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 선진국 직업 교육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강화 및 개선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질문 3 3. 연구 범위와 제한점 4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7 1. 문헌 연구 8 2. 실태 조사와 전문가 의견 조사 8 3. 전문가 협의회 및 자문회의 개최 12 제2장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강화의 중요성과 의미에 대한 이해 제1절 노동 시장과 직업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직업 교육 교원의 역할 변화 15 1. 노동 시장 환경과 고용 구조의 변화 15 2. 직업 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전문계 고등학교의 혁신 19 3. 직업 교육 교원의 역할 변화 26 제2절 직업 교육 교원 역량의 개념과 유형 분석 30 1. 역량의 개념적 의미와 특성 30 2.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유형 분석 33 제3절 논의와 시사점 40 1. 직업 교육 교원의 역할 변화에 따른 시사점 40 2. 직업 교육 교원 역량에 대한 의미에서 시사점 43 제3장 직업 교육 교원의 현황과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제1절 직업 교육 교원의 현황 45 1. 전문계 고등학교 현황 45 2. 전문계 고등학교 계열별 교원 수 47 제2절 직업 교육 교원의 양성 시스템 분석 50 1.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자격과 임용 제도 50 2.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양성 기관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54 제3절 직업 교육 교원의 향상 시스템 분석 62 1.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연수 제도 62 2.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연수 운영 현황과 과제 65 제4절 논의와 시사점 70 제4장 선진국 직업 교육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제1절 미국 73 1. 교원의 직무 수행을 위한 역할과 역량 73 2.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82 3. 교원 교육 제도 개선 및 역량 강화 정책 102 제2절 일본 116 1. 교원의 직무 수행을 위한 역할과 역량 116 2.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122 3. 교원 교육 제도 개선 및 지원 정책 138 제3절 독일 140 1. 교원의 직무 수행을 위한 역할과 능력 140 2.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150 3. 교원 교육 제도 개선 및 지원 정책 168 제4절 종합 시사점 171 1. 미국 171 2. 일본 174 3. 독일 175 4. 논의 종합표 178 제5장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수준 및 교원 교육 시스템 개선에 대한 실태 및 인식 조사 분석 제1절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에 대한 실태 조사 분석 181 1.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 181 2. 교사가 되기 위한 교원 양성 단계 202 3. 교원 임용 후 현직 교육(연수) 단계 206 4. 산업체 현장 연수 215 제2절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 및 교원 교육 시스템 개선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218 1. 전문계 고등학교 교원 역량 관련 제1차 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 218 2. 전문계 고등학교 교원 역량 관련 제2차 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 223 제3절 논의와 시사점 226 제6장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강화 및 개선 방안 제1절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 및 개선 방향 229 1.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 및 개선 방안 수립을 위한 기본 구도와 전략 229 2. 정책적 강화 및 개선 방향 233 제2절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 교육 시스템 개선 및 강화 방안 241 1. 전문계 고등학교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표준화 작업 241 2. 교원 양성 교육 시스템 개선 245 3. 교원 현직 교육 시스템 개선 252 4.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인식 제고 257 5. 추진 주체별 주요 정책 개선 방안 258 제3절 결론 및 제언 259 SUMMARY 263 <부록 1> 직업 교육 기관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의견 조사 279 <부록 2> 직업 교육 기관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1차 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 291 <부록 3> 직업 교육 기관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2차 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 297 <부록 4> 전문계 고등학교 실태 조사 관련 자문위원 및 산업체 관련 전문가 협의회 명단 301 참고문헌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