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LI 연구보고서정책연구 2011-12

한국의 직업구조 변화와 직업이동 연구

청구기호
정책연구 2011-12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11
형태사항
168 p
서지주기
참고문헌 포함
ISBN
9788973568802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14118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1411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141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1411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1980년에서 2010년에 이르는 지난 30여 년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지속적인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한국의 직업구조도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거듭해 왔다. 아울러 개인들의 직업선택 기준과 가치의식에 있어서도 세대 간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들의 직업선택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고 근로생애 동안 직업이동의 양상과 경로는 어떻게 변화하고 결정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21세기 교육훈련과 인력수급정책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30여 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한국의 직업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파악하고, 최근 10여 년간 취업자 개인들의 직업이동 양상과 경로가 어떻게 변화하고 결정되었는지를 분석함과 동시에 직업선호와 직업선택에 있어서 시대적, 세대 간 변화를 추적해 본다. 이 기간 동안의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해서는 직업별 취업자 구성의 변화 등과 같은 총량적 추이 분석들은 있었으나 직업구조 변화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보고 장기적인 변화의 양상과 추이를 읽어내는 작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지난 30여 년간 표준직업코드 체계가 몇 차례 바뀌었고 직업의 종류도 점차 늘어왔는데 그러한 분류체계의 변화와 구성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장기간에 걸친 직업구조 변화를 분석한 연구들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어서 본 연구는 그러한 공백을 메우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차원에서 ‘구조’를 ‘구성의 변화(compositional change)’와 직업의 내적-외적 동질성과 이질성(in- ternal-extern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에 있어서의 변화로 정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구성의 변화는 해당 직업을 가지고 있는 취업자들의 인적특성과 직업과 연계된 취업의 결과(경제적 보상 및 사회적 지위)에 있어서의 변화를 의미하고, 내적-외적 동질성과 이질성은 그러한 직업군별 특성에 있어서의 내적(within)-외적(between) 변이(variation)에 있어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한 변화는 그간 산업?직업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인적자원의 수요?공급에 있어서의 변화의 결과가 집약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직업의 구조변화, 직업의 이동, 직업선택 기준의 변화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연구질문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제시한다. 먼저 본 연구의 제2장 ?한국의 직업구조 특성과 변화 추이?에서는 직업의 구성변화를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에서 살펴본다. 먼저 수직적 차원에서는 구성원들의 교육수준과 소득을 중심으로, 수평적 차원에서는 구성원들의 성비, 중위연령, 임금근로자 비율 등을 중심으로 직업들 간의 구성에 있어서의 변화와 동질성 혹은 이질성의 변화 양상과 추이를 분석해 본다. 1980년대 이후 2010년까지 30여 년에 이르는 동안 한국의 직업구조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제활동인구조사?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1980?1991년까지 직종별임금실태조사, 1992?2007년까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두 번째 연구질문은 우리나라 직업이동의 양상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직업이동에 따른 노동시장의 성과는 어떻게 다른가이다. 따라서 제3장 ?한국의 노동시장변화와 직업이동?에서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이용하여 과거 10년 동안 개인의 직업이동 유형과 이동률과 이것이 임금과 같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직업이동은 산업구조 변화와 같은 외적인 변수에 따른 구조적 이동(structural mobility)과 취업자들의 선택과 결정에 따른 직업간 교환이동(exchange mobility)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특히 개인의 선택과 결정에 따른 이동이라는 측면에서 개인의 직업가치와 직업선호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세 번째 연구질문은 “개인들의 직업가치와 직업선호는 세대 간에 어떤 변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세대는 직업선호와 직업가치에 있어서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고민하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제4장 ?직업선호와 직업선택?에서는 세대별로 직업선호가 어떤 변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특히 이 장에서는 심층면담(FGI)을 통해 파악한 최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직업선호와 직업선택의 기준을 기술하고 논함과 동시에 2005년에 실시된 한국과 일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접조사 결과와의 비교분석도 제시한다. 마지막 제5장 ?종합 및 결론?에서는 제2장에서 제4장까지 다룬 한국의 직업구조, 직업이동, 직업선호와 직업선택에 대한 주제별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연구결과들이 가지고 있는 노동?사회정책적 함의와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는다.
목차
요 약 i 제1장 서 론 (방하남) 1 1. 문제 제기 1 2. 연구 주제 및 구성 2 제2장 한국의 직업구조 특성과 변화 추이 (김기헌) 5 1. 서 론 5 2. 한국의 직업구조 변화 추세 12 3. 직업대분류별 유사성 변화 추이 27 4. 결 론 41 제3장 한국의 노동시장 변화와 직업이동 (방하남?신인철) 46 1. 서 론 46 2. 직업의 구조적 변화와 직업이동에 관련된 논의들 47 3. 분석 결과 59 4. 요약 및 결론 113 제4장 직업선호와 직업선택 (방하남?김기헌) 119 1. 서 론 119 2. 세대별 직업선호 변화 양상 120 3. 대학생 대상 FGI 조사 128 4. 결 론 145 제5장 종합 및 결론 (방하남) 150 참고문헌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