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Collection

Collection

단행본

지구를 위한 법학: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지구중심주의로

청구기호
344.046 지구2020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형태사항
233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 포함
ISBN
978895212944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2000478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2000478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지구법학회 활동을 해온 전문가들이 기본 교재로 사용하고자 공동으로 집필한 지구법학 입문서이다. 지구법학은 과학의 발전으로 알게 된 새로운 사실들, 현대의 우주론과 진화적 과정을 통해 형성된 행성 지구 생명들의 연속성(continuity) 및 통합성(integrity)을 근거로 한다. 현대의 과학을 수용해서 법체계의 원리를 재구성하는 새로운 시도이기도 하다. 인간만을 주체로 설정하고 그 외 모든 존재가 객체(물건)로 취급되는 근대 법체계는 이미 과학에서 극복된 17세기 기계론적 세계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이제는 지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목차
서문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하여 / 강금실 제1부 지구법학이란 무엇인가 제1장 지구법학의 사상적 기원: 토마스 베리의 지구법학론 / 박태현 들어가며: 지구법학, 그 낯선 개념이 주는 매력 혹은 당혹감 지구법학 이해를 위한 지적 배경: 토마스 베리의 사유체계 베리의 지구법학론에 영향을 미친 사상과 이론 토마스 베리의 지구법학 중세기의 자연법(natural law) 관점의 새로운 표현 지구법학 나가며 제2장 지구법학과 야생의 법: 생명 공동체의 거버넌스 / 최선호 『야생의 법』과 지구법학 위대한 법학과 야생성 생태적 사고와 실천 야생의 시간: 때 야생의 장소: 땅 야생의 사람: 공동체 오래된 미래: 생태대 제3장 지구법학과 자연의 권리 / 박태현 들어가며: 지구법학과 지구권 그리고 자연의 권리 에콰도르 헌법과 자연의 권리 법원과 자연의 권리 입법과 자연의 권리 나가며: 자연의 권리와 지구법학 참고: 자연의 권리 연표 제2부 지구법학과 국제사회 제4장 지구법학과 유엔 그리고 국제시민사회 / 정혜진 들어가며 유엔의 기존 환경 활동의 한계 지구법학의 태동과 확산 지구법학과 유엔의 만남 세계지구권선언을 향하여 나가며 제5장 국제시민법정에 선 자연의 권리 / 김연화, 조상미 들어가며 주요 사례 나가며 제3부 지구법학의 적용 제6장 지구법학과 헌법 / 오동석 지구의 문제상황과 헌법 패러다임의 전환 헌법체제의 변화와 지구법학 패러다임 헌법 패러다임 전환의 방법론 지구법학 패러다임에서 헌법학적 시론 지구주의 헌법체제로의 전환기정의론 나가며 제7장 지구법학과 경제법 / 강정혜 들어가며: 새로운 법 영역 출현의 필요성 법적 주체(법인격)의 확장 지구법학과 새로운 경제법 나가며 찾아보기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