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Collection

Collection

연구보고서

(2014) 고용패널 학술대회

청구기호
학술대회 2014-06
발행사항
음성군 : 한국고용정보원, 2014
형태사항
807 p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2046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2046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목차
<발표분과 1> 대졸 노동시장 대졸 청년층의 취업목표 달성 결정요인 분석 .......................................................3 일반대학원 석사졸업생의 취업현황 및 임금결정 요인분석 .................................27 대졸자의 비자발적 창업 선택 ............................................................................ 49 GOMS에서 고연령 응답자 특성 분석 및 조사개선 방안 연구 ............................65 <발표분과 2> 고졸 노동시장Ⅰ 마이스터고 정책의 효과성 분석 ......................................................................... 87 고교재학중 학습능력과 학습 - 일 병행간에 상호관계 분석 ............................. 107 고졸취업 확대 정책이 고졸취업자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마이스터고졸 취업자 일자리의 질 분석 ................................................ ................................. 129 노동시장 경험이 대학진학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49 <발표분과 3> 직무만족 ․ 직무적성Ⅰ 이직에 따른 직업 특성 변화 : 임금과 직업만족도를 중심으로 ......................... 177 대졸이후 첫 주된 일자리 취업자의 취업준비행동 특성이 직무적합성•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190 청년근로자의 직무만족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을 중심으로 ..........................................................................................217 출퇴근 소요시간과 직장인의 태도 - Commuting time and job attitudes ......234 <발표분과 4> 노동시장성과Ⅰ 청년패널 자료를 활용한 청년층의 노동조합 가입결정요인 및 노조가입의 임금프리미엄 ......................................................................................................249 대학생 희망임금과 노동시장 이행 ...................................................................... 271 학력별 노동시장 이행 미스매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295 <발표분과 5> 직무만족․직무적성 전공 - 직무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의 변인 분석 ....................................321 교육만족도, 교육지원 성취도, 직무일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342 직무일치, 임금 및 업무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 최종학력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362 Sandwich Generation에 대한 탐색적 연구 ..................................................... 383 중고령자의 자산빈곤 이행(務行) 특성 연구 ..................................................... 405 중장년층 고용변화 특성과 고용활성화 방안 .................................................... 406 재취업한 중고령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424 <발표분과 6> 중고령자 Sandwich Generation에 대한 탐색적 연구 ......................................................383 중고령자의 자산빈곤 이행(이행) 특성 연구 ......................................................405 중장년층 고용변화 특성과 고용활성화 방안 ......................................................406 재취업한 중고령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424 <발표분과 7> 학생 대졸자의 미취업 기간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 연속시간 생존분석 방법의 적용.441 대졸자의 취업준비 노력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금 및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462 중․노년기 은퇴자의 은퇴 전후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에 관한 연구 ................. 484 출신대학 소재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 499 공학계 여자 대졸자의 노동시장이행 성과 ....................................................... 525 참여한 인턴제 업무수준의 교육 및 기술 그리고 전공 일치가 인턴제 참여 성과에 미치는 영향 ...................................................................................................... 547 전문대졸과 4년제 대졸의 노동시장 초기성과 비교분석 ................................... 566 <발표분과 8> 노동시장성과 Ⅱ 공학계 여자 대졸자의 노동시장이행 성과 ........................................................ 547 참여한 인턴제 업무수준의 교육 및 기술 그리고 전공 일치가 인턴제 참여 성과에 미치는 영향 ...................................................................................................... 547 전문대졸과 4년제 대졸의 노동시장 초기성과 비교분석 ................................... 566 <발표분과 9> 진로직업 후기 청소년의 직업포부 변화와 성, 사회경제적 지위, 학업성적 및 직업가치의 관계 ........................................................................................................................ 599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변화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 진로계획성과 진로관심을 중심으로 ............................................................................................. 621 고등학생의 취업목표와 진로지도프로그램이 직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646 <발표분과 10> 고졸 노동시장 Ⅱ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성숙도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가정의 진로교육 효과 추정...683 노동시장에서 고졸 청년층을 위한 핵심 정책과제 .............................................. 699 고졸자의 취업성과 분석 :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의 비교를 중심으로 ............. 724 <발표분과 11> 고졸 노동시장 Ⅲ 특성화고 졸업자의 재학 중 취업노력 및 취업지원이 실제 취업에 미치는 영향 … 749 특성화고 고졸청년층의 진로준비 및 진로성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769 특성화고졸자의 직업능력개발 경험과 취업의 질적 성과와의 관계 ....................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