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KLI 발간물

  1. 메인
  2. KLI 발간물
  3. 비도서

비도서

KLI 연구보고서

노동패널자료 연구(Ⅴ): 패널자료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청구기호
기타 2019-06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 2019
형태사항
169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포함
ISBN
9791126004041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16912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1691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1691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1691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의 제1장에서는 여러 국가의 개별 패널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변수들을 취합하고 일치화된(harmonized) 변수를 제공하는 CNEF자료를 소개하고 KLIIPS-CNEF의 개선점을 검토한다. CNEF 자료는 1993년부터 시작되어, 2019년 현재 미국, 독일, 영국, 캐나다, 호주, 스위스, 한국, 러시아연방 등 8개 국가의 9개 패널이 제공한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수록연도는 미국의 PSID가 가장 길어 1970년부터 2015년도까지 자료이고, 대부분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다. 사례 수는 패널마다 매우 다양한데, 캐다나의 SLID는 32,000가구, 95,000명으로 가장 큰 패널이다. 본 연구의 제2장에서는 CNEF(Cross-National Equivalent File)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국가별 삶의 만족도 실태를 비교하였다. 특히, 가구주 여부, 학력 수준, 고용수준, 성별, 혼인상태 등 다양한 인구학적 특성을 기준으로 국가별 삶의 만족도 수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기법의 하나인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모형을 통해 고용수준별(전일제, 시간제, 비취업)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과 개별 설명변수(특성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을 파악하였다.
목차
요 약 I 제1장 CNEF 자료의 소개 및 KLIPS의 CNEF 일치화 (이지은) 1 제1절 서 론 1 제2절 CNEF 참여 패널 현황 3 제3절 CNEF 자료의 구성 7 제4절 KLIPS의 CNEF 작성을 위한 사전 연구 19 제5절 KLIPS의 CNEF 일치화 과정 23 제6절 CNEF 자료 수령방법 32 제7절 결 론 35 제2장 CNEF 자료를 이용한 삶의 만족도 분석 (이경희․박문수) 37 제1절 서 론 37 제2절 자료 비교 40 제3절 고용수준별 분포 및 삶의 만족도 수준 45 제4절 국가별 삶의 만족도 결정변수 중요성 62 제5절 결 론 95 제3장 CNEF 자료를 이용한 소득불평등 분석 (이경희․김바우) 98 제1절 서 론 98 제2절 소득불평등도 측정 방법론 100 제3절 소득불평등도의 국가별, 집단별 비교 107 제4절 소득불평등도의 분해 115 제5절 결 론 130 제4장 CNEF 자료를 사용한 국가별 노동투입구조 비교 (이상호) 132 제1절 서 론 132 제2절 국가별 노동투입구조 분석 134 제3절 결 론 153 참고문헌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