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KLI 발간물

  1. 메인
  2. KL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KLI 연구보고서2014 임금직무센터 연구시리즈

임금직무체계 변화실태와 직무급의 과제

청구기호
임금직무센터 2015-01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 2015
형태사항
157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포함
ISBN
9791126000265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20621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2062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206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2062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급 도입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들을 이론적 검토와 구체적 경험사례의 분석을 통해 규명해내고 외국 사례들의 제도적 고찰을 통해 한국에서 직무급으로의 임금체계 변화에 대한 구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직무규율과 심리적 계약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서, 기본급 임금체계는 해당 국가의 역사적?사회적 상황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기업의 인사관리 시스템 전반의 적합성 속에서 작동함을 강조하였다.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서는 실제 컨설턴트들의 경험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직무급을 도입?운용할 때 발생하는 일반적 장애요인들과 직무급의 촉진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외투기업과 순수 국내기업의 다수 사례연구를 통해, 각 기업이 처한 상황 및 인적자원 관리제도들과 직무급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직무급의 도입과 실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해외 사례로 미국과 유럽에서의 직무급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최근 미국기업들이 직무급을 운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직무관리 관련정보 및 시장임금 정보시장의 중요성과 유럽의 노사정들이 주도적인 협의와 협약을 통해 직무급의 기본구조를 만들어내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목차
목차 요 약 i 제1장 서 론 1 제2장 문헌연구 6 제3장 전문가 의견조사 26 제4장 사례연구 48 제5장 해외 직무급 사례와 시사점 81 제6장 결 론 133 참고문헌 138 <부록 1> 미국 임금조사 기관과 데이터 샘플 143 <부록 2> O*NET 직무분석 샘플 148 <부록 3> Salary.com과 Payscale.com의 Screenshot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