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KLI 발간물

  1. 메인
  2. KL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KLI 연구보고서정책자료 2019-08

일터혁신의 이론 및 실천에 관한 기초연구

청구기호
정책자료 2019-08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 2019
형태사항
173 p
서지주기
참고문헌 포함
ISBN
9791126004126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16989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1698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1698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1698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는 일터혁신을 선도해온 일본, 미국, 독일 등 주요 선진국과 한국에서의 일터혁신 실천과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함의를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일본의 경우 대표적인 생산혁신모형인 도요타생산방식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미국은 1980년대 제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1990년대에 구조조정과 함께 전개된 고성과작업조직 및 관행 접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독일은 일터혁신의 흐름을 1) 유연적 생산시스템, 2) 노동 인간화를 강조하는 혁신적 노동정책론, 3) 도요타주의의 전면적 도입을 지향하는 통합적 생산시스템론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의 경우 아직 제대로 된 이론이 없는 상황을 감안하여 일터혁신의 실태와 정책,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일터혁신에 있어 성과배분의 의의에 착안하여 유럽과 미국의 일터혁신과 성과배분 이슈를 스캔론플랜, 사회기술시스템, 고성과작업장시스템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일터혁신의 네 개 국가사례들에 대한 종합적 논의와 주요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제1장 서 론 (장홍근)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제2절 연구 목적과 내용 및 방법 2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와 한계 4 제2장 일본의 일터혁신 실천과 이론화 (전우석) 6 제1절 흐름생산의 도입 노력(1934~1945년) 7 제2절 부분최적화와 월말 몰아치기 생산(1945~1954년) 13 제3절 슈퍼마켓방식의 도입과 칸반시스템으로의 발전(1954~1966년) 16 제4절 도요타생산방식과 포드생산방식 24 제5절 소 결 29 제3장 미국의 일터 패러다임 전환과 일터혁신 (박준식) 31 제1절 문제의 제기 31 제2절 일터혁신의 역사적 맥락, 혁신의 딜레마, 노동의 대응 36 제3절 고성과 일터의 전망 51 제4절 미국식 일터혁신의 시사점 57 제4장 일터혁신의 독일 이론의 역사와 전개 (정승국) 61 제1절 머리말 61 제2절 독일 생산방식의 변화 62 제3절 혁신적 노동정책론의 등장과 적용 사례 68 제4절 통합적 생산방식과 도요티즘 76 제5절 일터혁신 논쟁 79 제6절 인더스트리 4.0과 일터혁신 83 제7절 맺음말 88 제5장 유럽과 미국의 일터혁신과 성과배분 (김동배) 90 제1절 문제제기 90 제2절 스캔론플랜과 일터혁신 93 제3절 사회기술시스템과 성과배분 100 제4절 고성과작업시스템 및 공유자본주의와 성과배분 114 제5절 기술혁신과 성과배분 118 제6절 요약 및 함의 120 제6장 한국의 일터혁신 실천과 연구 (장홍근) 122 제1절 머리말 122 제2절 일터혁신의 개념과 의의 123 제3절 한국 기업의 일터혁신 현황과 과제 126 제4절 일터혁신 지원 관련 정책과 한계 132 제5절 일터혁신 관련 연구 성과와 과제 136 제6절 일터혁신 촉진을 위한 정책제언 141 제7절 맺음말 148 제7장 결 론 (장홍근) 152 참고문헌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