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KLI 발간물

  1. 메인
  2. KL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KLI 연구보고서정책연구 2019-21

산업집적지와 지역고용 창출

청구기호
정책연구 2019-21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 2019
형태사항
140 p
서지주기
참고문헌 포함
ISBN
9791126003969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16892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1689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1689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1689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급변하는 경제․산업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그동안 지역의 경제 및 고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던 산업집적지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예상되는 장애요인들을 극복하여 경쟁력을 유지하고 양질의 고용 창출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먼저, 산업단지 유형별로 관련 통계 분석을 통해 지역고용 및 노동시장, 생산의 변화추이를 분석한다. 둘째, 다양한 자료를 결합하여 지난 10년간(2009~18년) 기업패널자료를 구성, 산업집적지의 존재가 기업의 생산, 고용, 기술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용, 매출, R&D 등 기업성과 변수들을 기준으로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spill-over)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시흥지역 산업집적지를 중심으로 현장 실태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산업집적지 현황 및 특성, 기술경쟁력 수준, R&D 투자, 고용 및 노동시장 등을 조사․분석한다. 우리나라 산업집적지의 현실과 문제점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고용 창출 및 기업경쟁력 강화라는 관점에서 향후 전망과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요 약 I 제1장 들어가는 글 (윤윤규) 1 제2장 전국 산업단지 고용․생산 변화추세 분석 (조성철) 3 제1절 전국 산업단지 고용 및 생산 추이 3 제2절 국가산업단지 고용 및 생산 추이 15 제3절 산업단지 입지여건에 따른 고용 및 생산 추이 비교 25 제4절 일자리 유형에 따른 산업단지 고용추세 비교 36 제5절 소 결 48 제3장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 : 고용효과를 중심으로 (윤윤규) 52 제1절 선행연구 :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 52 제2절 분석자료의 구성 및 기초통계 55 제3절 유형별 및 광역시도별 산업단지 입주의 효과 59 제4절 주요 국가산업단지별 확산효과 분석 68 제5절 요약 및 결론 82 제4장 시흥시의 산업집적지와 고용 (노용진) 86 제1절 들어가는 말 86 제2절 시흥지역 산업단지 개요 88 제3절 시흥지역 산업단지의 특성들 95 제4절 시흥지역 산업단지의 고용 현황 108 제5절 소 결 120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윤윤규) 126 제1절 전국 산업단지의 고용 및 생산 변화추세 분석 127 제2절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 추정 : 고용, 매출, R&D 129 제3절 시흥지역의 산업집적지와 고용 132 참고문헌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