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KLI 발간물

  1. 메인
  2. KL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KIPA 연구보고서 2011-14

고령화시대에 부합하는 공무원 퇴직관리의 제도 설계 및 정책대안 연구

청구기호
연구보고 2011-14
발행사항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11
형태사항
569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포함
ISBN
9788957043905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1443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1443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연구목적 □ 고령화 사회에 부합하는 공직자 퇴직관리의 제도 및 정책 대안 설계 ○ 고령화 사회를 준비하는 정부의 인적자원관리 및 운영에 제언 - 기존 정형화된 인적자원관리를 점검하고 고령화·저출산 시대에 부합하는 인적자원관리 방향 및 퇴직관리의 제도 및 정책을 제언하기 위함 ○ 고령화 사회에 부합하는 퇴직관리 관련 제도를 개선 - 퇴직 및 현직 공무원이 최소한의 품위와 보람을 가질 수 있는 현실적인 퇴직관리 관련 제도 를 개선할 필요 - 퇴직준비교육, 퇴직지원, 퇴직지원전담조직 등의 강화 ○ 고령화 사회에 부합하는 새로운 정년제도, 임금피크제, 연금제도, 점진적 퇴직제도 등을 재 검토하여 적절한 대안을 제시 - 민간부문에서 논의되는 위와 같은 퇴직관련 제도의 내용과 방향을 검토하여 공공부문에 적 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 공직 경험과 지혜로 국내외 사회에 활용할 정책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함 - 오랜 공직생활에서 축적된 전문성과 지혜를 국가와 사회에 공헌할 수 있게 하는 정책 프로그 램을 설계함 - 특히, 공익형, 복지형, 교육형, 일자리 지원형으로 구분한 정책프로그램을 제시함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주요 내용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흐름도 1. 연구의 방법 2. 연구의 흐름도 3. 연구의 기여도 제2장 고령화시대의 퇴직관리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제1절 고령화시대의 인적자원관리 및 퇴직관리 1. 고령화 사회와 베이비붐 세대 2. 고령화시대의 정부 인적자원관리 3. 인적자원관리에서의 퇴직관리 제2절 퇴직관리에 관한 선행연구 및 이론 검토 1. 퇴직의 의의 2. 퇴직 유형 3. 퇴직결정 요인 4. 퇴직 연령 5. 퇴직 절차 6. 퇴직과 심리 7. 퇴직의 영향 제3절 본 연구의 접근 틀 제3장 퇴직관리의 실태 분석 및 공무원 인식조사 제1절 퇴직관리의 실태 분석 1. 주요국의 퇴직관리 실태 2. 민간기업의 퇴직관리 실태 분석 3. 우리나라 공무원의 퇴직관리 실태 분석 제2절 퇴직관리에 관한 공무원 인식조사 1. 설문조사의 의의 2. 설문조사의 대상과 방법 3. 설문조사의 항목 구성 4.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 5. 설문조사 시사점 제4장 정책방안 : 고령화시대의 공무원 퇴직관리의 제도 및 정책프로그램 설계 제1절 퇴직관리의 방향 1. 퇴직관리의 관점 2. 퇴직관리의 전략 및 예우 3. 정부의 퇴직관리 제도설계 방향 제2절 퇴직관리의 제도 설계 1. 퇴직관련 제도 개선 2. 공직자 재취업관련 제도 3. 퇴직관련 조직 재설계 제3절 퇴직관리의 정책 프로그램 설계 1. 퇴직관리 정책 프로그램 설계 2. 퇴직 후 위기관리 및 은퇴관리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제언 1. 이론적 제언 2. 실무적 제언 3. 제도적(법적) 제언 4.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