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검색

인기자료 검색

단행본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 국가리더십연구총서 4

고용노동정책의 역사적 변화와 전망: labor policy in Korea

청구기호
331.0951 고용2017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형태사항
496 p
서지주기
색인 포함
ISBN
978895211781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2000338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2000338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일자리 수요에 비해 일자리 공급이 더딘 현실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 지만 청년실업, 폭발적인 일자리 수요 증가,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근로 조건 격차, 심화되는 노사갈등으로 앞으로의 전망은 더욱 암울하다. 기술혁신은 강조되지만 이로 인해 예상되는 노동력 대체에 대한 대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상품시장의 국제화는 강조되지만 생산기지 이전에 따른 일자리 감소에 대한 대비책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 과정에서 근로가 최선의 복지라는 점에는 모두가 동의하면서도 고용과 복지의 연계에 대해서는 갈등이 빚어지고 있고, 노동시장 유연화를 요구하는 목소리와 직업 안정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경제 문제의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지던 경제성장은 더 이상 고용효과를 산출하지 못하고 있고, 향후 경제성장은 물론이고 고용효과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대학교 국가리더십연구센터 국가리더십연구총서로 발간된 이 책에서는 우리 고용·노동정책의 발자취와 앞으로의 대안을 모색한다. 고용노동부와 청와대, 국책연구기관, 대학에 근무하면서 해당 분야를 직접 주관했던 담당자들이거나 해당 정책의 주요 이론적·실천적 기여자로 구성된 집필진은 고용·노동정책의 역사적 전개 과정, 노사관계, 임금정책, 직업능력개발정책, 고용보험제도, 산업안전보건정책, 고용복지 연계정책, 외국인력정책, 여성고용정책, 4대 사회보험 적용 및 징수 통합 추진 등 주요 이슈와 정책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이와 함께 이 책에서는 고용·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사, 청년층과 노년층은 물론이고 남녀, 인종, 종교, 소득으로 구분된 집단이 성장의 과실(果實)을 함께 나누며 새로운 성장을 위한 협력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우리 과거 경험의 상당 부분이 협력의 기초 위에서 생성되었다는 점을 다시금 상기해야 할 지점에 와있다는 점은 독자들과 정책 결정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목차
1부 총론 1장 / 우리나라 고용·노동정책의 변동과 과제: 역사적 접근의 필요성 (금현섭) 1. 들어가는 말 2. 역사적 경험에 대한 접근 3. 역사적 접근에서의 고용·노동정책 4. 책의 구성 5. 맺음말: 향후 과제 2장 / 우리나라 고용정책의 전개 과정 (김성중) 1. 들어가는 말 2. 고용정책의 전개 과정 3. 고용정책의 발전 방향 3장 / 시대별로 살펴본 우리나라의 노동정책 (김원배) 1. 들어가는 말 2. 1960년대의 노동정책 3. 1970년대의 노동정책 4. 제5공화국의 노동정책(1981-1987) 5. 제6공화국의 노동정책(1988-1992) 6. 문민정부의 노동정책(1993-1997) 7. 국민의 정부의 노동정책(1998-2002) 8. 참여정부의 노동정책(2003-2007) 9. 이명박 정부의 노동정책(2008-2012) 10. 맺음말: 향후 과제 2부 정책 분야별 회고와 전망 4장 / 노사관계법의 역사적 변화와 전망 (이철수) 1. 들어가는 말 2. IMF 구제금융 이후 노동법제의 제·개정 내용 3. 2000년대 초·중반의 노동법상 주요 담론 4. 최근의 해석론·입법론상 쟁점 5. 맺음말 5장 / 임금정책의 변화와 정책결정 과정 (김헌수) 1. 들어가는 말 2. 임금정책의 변화 3.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과 임금정책 변화 4. 정년 연장법과 임금정책 방향 5. 맺음말 6장 / 직업능력개발정책의 역사적 변화와 전망 (정병석) 1. 들어가는 말 2. 직업훈련제도의 도입과 발전 3. 맺음말: 향후 과제와 전망 7장 / 고용보험제도의 도입과 발전 (유길상) 1. 고용보험제도의 도입 과정 2. 고용보험제도 도입 과정에서의 핵심 쟁점과 주요 행위자의 역할 3. 고용보험제도 발전 과정에서 주요 행위자의 역할 4. 맺음말 8장 / 산업안전보건정책의 흐름과 전망 (송지태) 1. 들어가는 말 2. 산업안전보건정책의 발전 과정 3. 산업안전보건 수준의 현주소와 전망(2010년 이후) 4. 맺음말 3부 정책 대상별 회고와 전망 9장 / 고용복지 연계정책의 변화와 전망 (황덕순) 1. 들어가는 말 2. 고용복지 연계정책 관련 개념과 한국의 제도적 맥락에서의 함의 3. 고용복지 연계정책의 전개 과정 4. 근로빈곤층 보호 방안을 둘러싼 논의 전개 과정 5. 맺음말 10장 / 외국인력정책의 변화와 전망: 저숙련 외국인력 정책을 중심으로 (이규용) 1. 들어가는 말 2. 고용허가제 도입 이전의 외국인력정책 3. 고용허가제의 도입 및 실시 4. 외국국적동포의 국내 취업과 방문취업제 도입 5. 외국인력정책의 주요 제도 변화와 쟁점 11장 / 여성고용정책의 변화와 쟁점 (이주희) 1. 들어가는 말 2. 주요 여성고용정책의 도입 시기와 내용 3. 여성 일자리 특성과 고용정책 쟁점별 평가 4. 맺음말 12장 / 4대 사회보험 적용·징수 통합 추진과 향후 과제 (장신철) 1. 들어가는 말 2. 4대 사회보험 적용·징수 체계의 문제점 3. 각 정부에서의 적용·징수 통합 논의 4. 징수 통합 과정에서의 정책참여자 역할 분석 5. 맺음말: 향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