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검색

인기자료 검색

단행본통섭원총서 2

사회생물학 대논쟁

청구기호
304.5 사회2011
발행사항
서울 : 이음, 2011
형태사항
300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 포함
일반주기
표제관련정보 : 생물학 vs. 사회과학
ISBN
978899316633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2000231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2000231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인간은 생물학적 존재인가, 사회문화적 존재인가? 생물학, 진화생물학, 진화심리학, 과학기술학, 사회과학, 문화인류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 최고의 학자들이 모여서 벌인 사회생물학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을 담은 책이다. 새사회생물학은 환원주의인지, 생물학으로 인간 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지 그리고 한국에서는 사회생물학을 어떻게 받아들였는가에 대한 다양한 논쟁을 따라가면서 생물학과 사회과학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도록 한다. 사회생물학에 균형 잡힌 시선으로 접근하도록 도와준다.
목차
최재천 서문: 환원주의와 사회생물학?불편하지만 꼭 필요한 동거 논쟁 1: 사회생물학은 환원주의인가? 김환석: 생물학적 환원주의와 사회학적 환원주의를 넘어서 1. 머리말: 사회생물학과 표준사회과학모형 2. 생물학적 환원주의와 문제점 3. 사회학적 환원주의와 문제점 4. 대안으로서의 비환원주의 5. 맺음말: ‘통섭’에서 ‘합생’으로 장대익: 사회생물학과 진화론적 환원주의 1. 어떤 환원주의를 말하는가? 2. 비다윈주의적 환원주의 3. 다윈주의적 환원주의 4. 다윈주의적 반환원주의 5. 나오며: 행위자-연결망 이론과 환원주의 논쟁 2: 생물학으로 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이정덕: 지식대통합이라는 허망한 주장에 대하여 ? 문화를 중심으로 1. 문제틀 2. 문화연구의 문제틀 3. 문화를 보는 사회생물학의 문제틀 4. 통섭과 문화, 그리고 문제점 5. 사회생물학 문제틀로 문화에 접근할 때의 문제점 6. 대안: 허용의 관점 전중환: 문화의 진화적 종합을 위하여 1. 머리말: 진화는 문화를 어떻게 설명하는가? 2. 초유기체로서의 문화 3. 문화에 대한 진화적 접근들 4. 메타문화 5. 유발된 문화 6. 전달된 문화 7. 맺음말: 문화의 진화적 종합을 위하여 논쟁 3: 한국에서 사회생물학은 올바로 수용됐는가? 이병훈: 한국에서는 사회생물학을 어떻게 받아들였나? ? 도입과 과제 1. 윌슨의 『사회생물학』 번역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이기적 유전자』와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가 사회생물학 열기에 기름을 붓다?1993년 3. 한국에도 사회생물학과 진화심리학의 열풍이 불다?1994년 4.『자연주의자』와 개미 관련 책들의 출간?1995~1997년 5. 다윈의 진화론 바람이 철학계에?1998~1999년 6.『인간 본성에 대하여』와 『이타적 유전자』의 출간?2000~2001년 7.『사회생물학의 승리』의 출간, 그러나 계속되는 반론들?2001~2004년 193 8.『통섭: 지식의 대통합』의 출간과 찬반논쟁?2005년 9.『이기적 유전자』 발간 30주년과 국내에서의 논쟁들?2006~2008년 10. 다윈 탄생 200주년과 사회생물학?2009년 11. 사회생물학의 후폭풍, 그 심판은 어떻게 12. 사회생물학 논쟁의 승리자는 누구인가? 13. 사회생물학에 일어난 그 후의 변화들 14. 일본과 중국에서는 사회생물학을 어떻게 받아들였나? 15. 한국의 사회생물학 도입 상황과 과제 16. 결론 김동광: 한국의 ‘통섭 현상’과 사회생물학 1. 들어가는 말 2. 간학문성의 측면에서 『컨실리언스』가 설득에 실패한 이유 3. 한국의 통섭 현상 4. 나가는 글: 통섭 현상의 함의 김세균 후기: 다윈주의와 우발성의 유물론, 그리고 중층결정 찾아보기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