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추천도서 검색

추천도서 검색

단행본

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 4차 산업혁명과 간헐적 팬데믹 시대. 2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ociety beyond capitalis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ge of intermittent pandemics

저자
이도흠
청구기호
303.483 4차2020 v.2
발행사항
서울 : 특별한서재, 2020
형태사항
559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 포함
ISBN
979118891296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2000417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2000417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목차
제1부 의미로 읽는 인류사와 과학기술 제1장 의미로 읽는 인류사 1 - 숲생활기에서 농경혁명과 경제생활기까지 1. 왜 의미로 읽는 인류사인가 2. 숲생활기 3. 석기사용기 4. 언어소통과 집단수렵채취기 5. 농경혁명과 경제생활기 제2장 의미로 읽는 인류사 2 - 철기와 종교의 시대부터 인공지능 시대까지 1. 철기와 종교의 시대 2. 과학/산업/시민혁명기 3.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 제3장 과학기술과 신, 인간, 진리의 관계 - 계몽의 변증법과 과학과 도(道) 1. 종교와 과학의 대립 2. 종교와 과학의 종합 3. 구세주로서 과학과 디스토피아의 매개로서 과학 4. 신과학/운동: 대안의 과학인가, 사이비과학인가? 5. 과학/기술과 도의 종합 제2부 인공지능과 인류의 미래 제1장 자동화와 로봇화 - 노동과 자본주의의 양상과 미래 1. 노동이란 무엇인가 2. 로봇시대의 도래와 자동화 3. 로봇자동화와 일자리/불평등 문제 4. 자본주의 체제와 4차 산업혁명의 역학관계 제2장 인공지능의 쟁점 1 - 인간 본성의 프로그래밍 1. 인간의 본성에 대한 융합적 분석 2. 인간의 존재론과 선을 증장하는 방법 3. 인공지능의 인간화와 가능성과 한계 제3장 인공지능의 쟁점 2 - 초지능과 자유의지의 프로그래밍 1. 근본 원리의 계량화와 컴퓨팅의 발전 2. 인간의 뇌와 인공지능 3. 초지능: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초월할 것인가? 4. 자유의지 허구론:자유의지라고 생각하는 것만이 있다 5. 자유의지 실재론:그래도 자유의지는 있다 제4장 인공지능의 쟁점 3 - 감정의 프로그래밍과 공존의 문제 1. 감정에 대한 고전적 이론 2. 감정의 구성이론 3. 감정과 불교 4. AI는 인간의 감정을 가질 수 있는가 5. AI 시대에서 인간의 존재론과 위상, 그리고 공존 문제 제5장 로봇화와 인공지능의 대안과 인류의 미래 1. 유령으로서 4차 산업혁명 2. 실상으로서 4차 산업혁명 3. 로봇화와 인공지능에 대한 대안 4. 인공지능과 인류의 미래 부록 - 시적/철학적 의미의 창조와 해석의 프로그래밍 방안 참고문헌 찾아보기 사진출처 제1부 4차 산업혁명의 융합적 분석 제1장 디지털 사회와 빅데이터 1. 구술시대/활자시대/영상시대의 차이 2. 산업사회와 탈산업사회의 차이와 디지털 사회의 특성 3. 디지털 사회의 빛과 그림자 4. 아날로그형 인간과 디지털형 인간 5. 빅데이터와 데이터교 제2장 가상현실/증강현실과 재현의 위기 1. 왜 재현의 위기인가 2. 시대에 따른 현실 개념의 변화 3. 이데아와 그림자 4. 예술과 현실의 거리 문제 5. 실재의 허구성 6. 증강현실의 개념과 응용분야 7. 가상현실과 우리 8. 대안의 지평과 모색 제3장 초연결사회와 공유경제 1. 연결되어 있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2. 도구, 에너지, 커뮤니케이션, 공감을 중심으로 읽는 인류사 3. 3D/4D 프린팅/사물인터넷을 통한 초연결사회의 양상 4. 공유지의 비극과 희극 5. 소유와 독점에서 접근과 공유로 6. 한계비용 제로의 공유사회 7. 공유경제의 가능성과 한계 8. 초연결사회의 문제점과 대안 제4장 생명공학과 호모 데우스 - 연기적 생명성과 죽음의 의미 1. 생명의 조건과 기원 2. 생명의 개념과 특성 3. 생명의 역사와 진화 4. 생명의 조작과 조합, 창조의 양상 5. 연기적 생명성과 죽음의 의미 제5장 인류세/자본세에서 생명 위기의 실상과 생명 정치의 지향점 1. 인류세/자본세에서 전 지구 차원의 환경 위기와 생명 위기의 양상과 원인 2. 자본주의 체제에서 생명의 상품화와 고통의 구조화, 부재의 정치학 3. 4차 산업혁명이 자연과 생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4.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생명정치의 구조와 양상 5. 생명정치의 지향점 제2부 4차 산업혁명/간헐적 팬데믹 시대의 대안 제1장 새로운 패러다임과 세계관 1.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2. 실체론에서 연기론으로 3. 이분법에서 대대로 4. 전 지구차원의 환경과 생명의 위기와 불일불이의 생태론 5. 폭력과 죽임의 문화에서 화쟁의 평화론으로 6. 동일성의 배제에서 변동어이의 눈부처 차이로 7. 진속불이와 눈부처 주체 8. 재현의 위기에서 상체용의 아우름으로 제2장 윤리와 대안들 1. 로봇에 대한 윤리 2. 생명공학에 대한 윤리 3. 인간 향상에 대한 비판 4. 도덕공학 5. 권력에 대한 저항 6. 선한 인공지능의 제작 방안 7. 공감과 협력 교육 8. 정의의 구현 9. 눈부처 공동체 10. 포스트세속화 시대의 신앙과 영성 11. 간헐적 팬데믹 시대의 지향점 맺음말 감사의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사진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