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추천도서 검색

추천도서 검색

단행본우리시대 학술연구2020년 BEST 30

한국의 불안정 노동자

청구기호
331.542 한국2017
발행사항
서울 : 후마니타스, 2017
형태사항
226 p
서지주기
참고문헌(p.205-221) 및 색인(p.222-226) 포함
ISBN
978896437285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20003742대출가능-
지금 이용 불가 (1)
한국노동연구원20003241대출중2019.11.02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2000374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200032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19.11.02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불안정 노동은 주로 고용계약 형태, 종사상 지위와 관련해 사용되면서, 표준적이지 않은 계약, 상용직이 아닌 계약, 무기 계약이 아닌 고용 형태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노동시장 변화의 중심에는 표준적 고용계약 관계의 틀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늘고 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일할 능력이 있음에도 일을 포기하는 장기 실업자, 프리터, 니트 등 노동권 영역에서 포괄될 수 없는 인구 집단이 확대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불안정성은 다차원적이며, 성, 연령, 계급, 특정 인구 집단 및 직업 집단 등과 복합적인 상호 작용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 책에서는 저숙련, 비정규직 위주로 확장되고 있는 서비스 부문의 노동 수요를 주로 충당하는 여성·노인·청년 등 노동시장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불안정성을 살펴보는 한편, 불안정 노동을 개인의 계급적 지위 구분에 기초해 분석한다. 서비스 경제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계급 구분을 적용해 한국 사회에서는 어떤 계급들이 불안정 노동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프레카리아트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 규모는 어떤지를 확인한다.
목차
서문ㆍ8 1장│왜 우리는 일하면서도 불안정한가ㆍ15 2장│한국 불안정 노동시장의 형성ㆍ30 3장│불안정 노동의 개념ㆍ57 4장│한국 청년 불안정 노동자ㆍ86 5장│한국 여성 불안정 노동자ㆍ112 6장│한국 노인 불안정 노동자ㆍ132 7장│불안정 노동의 계급화: 프레카리아트의 형성ㆍ158 8장│한국 불안정 노동자의 새로운 내일을 위해ㆍ186 참고문헌ㆍ205 찾아보기ㆍ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