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추천도서 검색

추천도서 검색

KLI 연구보고서

청년층 노동시장의 주요 특징과 정책 시사점

청구기호
정책자료 2014-05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 2014
형태사항
81 p
ISBN
9788973565108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19442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1944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1944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194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층 노동시장의 주요 특징 및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노동시장 정책의 평가 연구를 분석하여 정책 시사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청년층 노동시장의 주요 정형화된 사실(stylized facts), 노동시장 정책을 정리하고, 관련 연구들 을 분야?방법론?정책 제안별로 종합하여, 효율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토대 구축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청년층 고용률은 외환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다가 최근 취업자 수의 증가에 힘입어 증가세에 접어들었지만, 청년층 고용사정은 OECD 평균인 39.6%에도 크게 못 미치는 수준에 여전히 머물러있다. 실업통계에 잡히지 않는 청년층 주변노동력의 존재를 고려하면, 청년실업 문제는 통 계에서 보여지는 그 이상으로 심각할 수 있다. 노동생산성 및 성장잠재력의 약화에 따른 경제구조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받는 청년층의 고용 하 락 및 부진해결을 위해 노동시장의 효율적인 체질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모색과 수립을 위한 토대의 구축이 시급하며, 고용률 70% 로드맵이 국정 핵심과제로 선정된 현재, 사안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김유빈) 1 제2장 청년층 노동시장 실태 및 성과 (김유빈) 4 제1절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실태 분석 4 제2절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 분석 8 제3절 학력 및 직업교육훈련 10 1. 고졸 청년층 노동시장 실태 10 2. 직업교육훈련의 노동시장 효과 12 제4절 과잉교육(Overeducation) 18 제5절 세대 간 고용대체 가능성 및 NEET 현상 21 제3장 청년층 성별 노동시장 성과 격차 (김유빈) 25 제4장 대졸 청년층의 취업재수와 노동시장 효과 (전주용) 34 제1절 문제 제기 34 1. 연구 배경 및 목적 34 2. 분석 대상 및 자료 36 제2절 취업준비 유형 분류 및 취업재수 특성 37 1. 취업준비 유형 분류 및 정의 37 2. 취업재수의 인적?전공별 특성 39 제3절 취업재수자의 졸업 전후 취업준비 실태 47 1. 졸업 전 취업목표 현황 48 2. 졸업 전후 취업준비 현황 52 3. 졸업 전후 시험준비 현황 54 제4절 취업준비의 노동시장 효과 57 1.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의 노동시장 성과 57 2.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의 교육:노동시장 연계 효과 63 제5절 소 결 67 제5장 결 론 (김유빈) 69 참고문헌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