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추천도서 검색

추천도서 검색

KLI 연구보고서연구보고 95-10

미래를 위한 새로운 노사관계

청구기호
연구보고 95-10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1995
형태사항
285 p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00541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0054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005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0054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유효기간이 상실된 한국의 고도성장 30년은 무엇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인가. 한국경제의 계속된 숙제인 노사관계는 어떻게 이끌어 나갈 것인가. 본 보고서는 협력적 노사관계를 이루기 위한 문제의 소재와 방안을 1990년대 미국 성공기업의 실례를 통해 전개하고 있다.
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미국기업의 새로운 비전    1. 번영의 시대의 종말    2. 당면한 문제들 : 생산성, 품질, 혁신    3.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의 여러 가지 시도    4. 종업원참여의 저조와 겅제적 민주주의    5. 종업원참여의 사례를 통해 본 기록    6. 경제적 성공을 위한 노종조합의 재조정    7. 미국 산업에서의 노동조합의 역할확대 사례    8. 새로운 조합주의의 모색 : 삼각체제    9. 작업장 계약에서 기업협약으로 제2부 번영에서 쇠퇴로의 반전    제2장 번영의 시절과 전통적인 작업장 계약 관행    1. 번영을 뒷받침한 긍적적 요인들    2. 세계의 지도자로서 미국의 새로운 역할    3. 독점적 이윤과 규제된 시장    4. 적대적인 시대에서의 번영과 이윤    5. 전통적인 작업장 계약    6. 확산되는 노조의 복음    7. 짧은 승리    제3장 번영의 종말    1. 새로운 세계질서가 자본과 노동에 미친 영향    2. 독점적 이윤과 독점적 시대의 소멸    3. 수입품에 대응한 경영전략    4. 작업장 계약의 폐지    5. 이윤과 급료    제4장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1. 가격과 생산성    2. 미국의 생산성    3. 품질향상 경주의 때늦은 시작    4. 뒤떨어진 연구 개발 혁신    5. 누구를 그리고 무엇을 비난해야 하는가    6. 기업의 기형적 작업양태    7. 노동과 가격경쟁의 문제    8. 노동과 작업규칙    9. 경제가 침체되는데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하였나 제3부 적대적인 작업장에서 경영측과의 연대로    제5장 경영권과 노동조합의 요구    1. 작업장을 통제하기 위한 경영자의 투쟁    2. 노동자의 권리를 위한 노동자의 투쟁    3. 작업장 통제를 위한 투쟁    4. 노동자들은 무엇을 얻었는가    제6장 종업원참여제도    1. 인간에 의한 생산성 증가    2. 종업원참여제도와 미국의 경쟁력의 상호연결    3. 노동조합이 없는 산업에서의 종업원참여    4. 노동조합이 조직된 부문의 종업원참여 : 삼각체제    제7장 참여제도는 올바로 작동하는가    1. 종업원참여제도의 잠재적인 이익    2. 종업원참여제도의 잠재적인 비용    3. 종업원참여제도의 실질적인 평가    4. 낙관주의의 필요성    5. 노동조합의 역할 제4부 기업공동체를 향하여    제8장 작업장의 공동관리에서 기업공동체경영으로    1. 새턴 프로젝트 : 합의문화    2. 열악한 공장에서의 새로운 시도 : 하버드 인더스트리사의 사례    3. 전략성 공동행동 : 하와이 대학    4. 기업이익에 대한 참여 : 소유권 공유, 기업지도력, 이윤    제9장 기업협약    1. 경영자의 특권에 대한 재도전    2. 기업에서의 권리와 책임    3. 경영의 세 가지 기능    4. 기업협약의 핵심구조    5. 기업협약의 7가지 포인트    6. 기업협약의 실행    7. 새로운 기업협약을 경제 전체로 확산시키자    8. 새로운 기업협약의 미래    제10장 새로운 노사협력협정을 위한 환경창출의 모색    1. 노동조합 대 경영층의 화해    2. 노동법 개혁    3. 미국 노동성의 역할을 강화하자    4. 노사협의회    5. 비조직 노동자의 조직화    6. 기회의 보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