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신착자료 검색

신착자료 검색

단행본

21세기 시민경제학의 탄생

청구기호
330.02 ECO200121
발행사항
서울 : 북돋움, 2015
형태사항
407 p
원서명
Economia civile : efficienza, equità, felicità pubblica
원저자명
Zamagni, Stefano, Bruni, Luigino,
서지주기
참고문헌(p. 380-381)과 색인수록
ISBN
978899257372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2000305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2000305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목차
한국어판 특별 서문 들어가는 말 1장. 사회가 조화롭게 발전하려면 ‘시민경제’란 무엇인가 시민경제의 관점 사회가 조화롭게 발전하려면 세계화 속 시민경제 2장. 시민경제의 뿌리 중세와 수도원 문화, 그리고 경제 담론의 발명 시민 상업이라면 금상첨화 빈곤과 부, 그리고 상호성 시장으로 가는 길로서의 증여와 상호성 3장. 시민 인본주의: 중세 시대의 번성과 완성되지 못한 근대화의 여명 시민 인본주의, 그리고 그 너머 인본주의의 유토피아 시민의 밤 시민성의 새로운 존재론을 향해 공공 행복 4장. ‘유복한 사회적 삶’의 과학: 이탈리아 계몽주의와 시민경제 나폴리의 황금기 시민경제의 단어들 밀라노 학파 5장. 영국의 전통: 인본주의자 애덤 스미스에서 로빈슨 크루소의 경제학까지 애덤 스미스: 시민사회를 위한 도구로서의 시장 시장과 사회성 애덤 스미스 이후의 정치경제학: ‘로빈슨 크루소 경제학’의 탄생 영국의 다른 흐름들 6장. 시민경제의 쇠퇴에서 부활까지 20세기 경제학에서의 개인주의 ‘국가와 시장’에 대한 사회 질서 모델 내에서의 제3부문 NPO는 과도기적 조직인가? 시민경제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다 7장. 시민경제의 주체는 누구인가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호모 레시프로칸스 상호성의 원칙과 등가교환의 원칙 자원봉사 단체와 상호성의 원칙 사회적기업과 시민기업의 정체성 사회적기업과 시민기업의 전염성 8장. 고용, 복지사회, 시민경제 부유한 사회의 불확실성 완전 고용에서 완전 직업으로 고용의 황금률은 불가능하다 시민경제의 해결 방안 ‘복지국가’에서 ‘시민복지’로 사회적 품질 시장 역량 중심 접근과 보충성의 원칙 9장. 다시, 행복 이스털린 패러독스 지위의 행복 관계재 관계와 행복 행복을 계산하는 데 우리는 왜 실수를 저지를까? 관계에 기초한 행복의 취약한 힘 나오는 말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해제(정태인) 옮긴이의 말(제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