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신착자료 검색

신착자료 검색

KLI 연구보고서정책연구 2022-12

디지털 목소리(Digital Voice)와 노사관계의 미래

청구기호
정책연구 2022-12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 2022
형태사항
293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포함
ISBN
9791126006083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18180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1817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1818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1817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목차
요 약 i 제1장 서 론(이상준) 1 제1절 디지털 목소리(digital voice) 현상의 등장 1 제2절 디지털 목소리 현상을 해석하는 이론적 틀 4 제3절 디지털 목소리 현상 사례 조망 9 제4절 연구의 구성 12 제2장 청년 세대와 디지털 목소리(이상준) 14 제1절 조사 개요 14 제2절 직업 관련 경험과 인식 17 제3절 사회적 자본:신뢰와 연결망 63 제4절 직업․일․노동에 대한 세계관과 가치관 7 제5절 온라인 공간․디지털 목소리에 대한 인식과 경험 125 제6절 소 결 173 제3장 온라인 발언 채널 활성화와 노동조합 (이정희․박종식) 191 제1절 들어가며 191 제2절 문헌 검토 195 제3절 노동자와 디지털 목소리 204 제4절 노동조합과 디지털 목소리 212 제5절 소 결 220 제4장 온라인 플랫폼과 디지털 목소리:미세작업 플랫폼 작업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노성철) 222 제1절 문제의식 222 제2절 온라인 미세작업 플랫폼 노동 개요 225 제3절 연구 방법 229 제4절 플랫폼의 진화와 디지털 목소리의 등장 236 제5절 소 결 260 제5장 결 론(이상준) 263 제1절 결과 요약 26 제2절 연구의 시사점 269 참고문헌 271 [부록] 청년세대 세계관과 가치관 조사 설문지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