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KLI 연구보고서

제20차(2017)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청구기호
기타 2018-04b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 2018
형태사항
142 p
ISBN
9791126002580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노동연구원52016677대출가능-
한국노동연구원5201667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5201667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 등록번호
    5201667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본 보고서는 제20차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이하 KLIPS)의 조사 과정 및 조사 진행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는 한편, 자료 정제(data cleaning)를 마친 조사 자료(data)를 분석하여 KLIPS의 기본적인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LIPS는 단편적인 조사만으로 알기 어려운 노동시장에 관한 미시자료(micro data)들을 패널로 얻기 위해 실시하는 종단 조사(longitudinal survey)이다. KLIPS는 1998년 제1차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매년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2017년에 제20차 조사가 완료되었다. KLIPS는 고용노동부의 지원하에 한국노동연구원이 생산․점검․관리․공개 등 전 단계에 걸쳐 전담 수행하고 있다. KLIPS는 1998년 제1차 조사에서 표본으로 추출한 5,000가구와 이들 가구를 구성하는 13,321명의 가구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하였다. 패널조사의 핵심은 우선적으로 최초 추출된 표본을 이후 조사에서 얼마나 많이 성공적으로 조사하는가에 달려 있다. KLIPS는 이번 제20차 조사에서 원표본 5,000가구 중 3,355가구를 성공적으로 조사하여 67.1%의 원표본유지율을 기록하였다. KLIPS는 기본조사와 부가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조사는 매년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설문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가조사는 시대적 상황 및 KLIPS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새로운 주제를 발굴, 기본조사에 덧붙여 실시하는 추가적인 조사이다. 기본조사는 가구의 특성과 가구원의 경제활동을 주로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가구에 대한 조사는 가구의 구성과 가구 소득 및 소비, 주거 등의 내용을 조사한다. 가구원에 대한 조사는 가구를 구성하는 15세 이상의 모든 가구원에 대해 실시하며, 취업자 개인(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과 미취업자 및 신규 진입자에 대한 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 내용은 개인의 경제활동, 노동력 상태, 소득, 노동이동 등 노동시장과 경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 KLIPS는 패널자료의 양적인 측면뿐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노동패널팀은 조사원 교육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조사원들의 KLIPS에 대한 이해제고에 기여하는 한편, 조사 현장을 조사원과 함께 방문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욱 원만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다. KLIPS는 자료 사용자들의 편의 제고에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패널자료 분석기법의 대중화 기반이 마련되지 않아 패널자료를 이용한 연구의 양적․질적 간극이 존재함을 고려하여, KLIPS는 학술대회에서 특별세션을 마련하여 패널자료 분석방법론에 대한 강연을 실시해 온 바 있다. 패널자료 분석방법론 강연은 난해하던 패널자료 분석기법들을 일반화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연자료는 노동패널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품질 개선과 패널자료 분석의 대중화를 위한 KLIPS의 노력은 한국 노동시장 및 경제 전반에 대한 연구분석 활성화와 학제 간 연계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KLIPS 유저 가이드 및 홈페이지에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를 마련하고 보충한 것 역시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FAQ는 KLIPS의 사용․분석 등 활용 전반에 관련하여 빈도가 높은 27개 질문 위주로 이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 있다. KLIPS 자료 정제 및 분석에 관한 코드는 통계프로그램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SAS와 SPSS, STATA로 3원화하여 제공해 왔으며, 2017년부터는 R 사용자들의 사용편의를 반영하여 R 버전의 프로그램도 함께 작성하여 제공토록 하였다. 한국노동패널팀은 앞으로도 이용자들의 편의를 고려하기 위한 자체적 노력과 더불어 사용자들로부터의 제언을 바탕으로 FAQ 내용 및 문항을 지속적으로 보완할 것이며, 이에 자료 사용 시 발생하는 어려움이나 문제점에 대한 이용자의 적극적인 문의는 FAQ의 발전 및 확충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KLIPS 이용자들의 편의성 제고의 연장선에서, 한국노동패널팀은 연구 목적에 따라 개인 및 가구 데이터의 변수를 선택하고, 이의 연도별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SMART_KLIPS 프로그램을 개발․제공하고 있다. 현재 SMART_KLIPS는 STATA 버전만 제공되고 있지만, 추후 기타 통계 프로그램을 위한 SMART_KLIPS 버전의 확충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본 보고서의 구성은 KLIPS 설문구조와 연계하에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은 제20차 조사에 대해 개관하고, 제3장과 제4장은 가구에 대한 주요 조사 자료들을 분석하여, KLIPS 조사가구의 특성과 가계경제에 대해 다룬다. 제3장은 가구와 가구원의 현황 및 구성 변화를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다루고, 제4장은 가구의 소득과 소비, 자산과 부채 등 가계의 경제적 측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데 차이가 있다. 제5장부터 제7장은 가구원 개인에 대한 조사 내용에 집중한다. 제5장은 개별 가구원, 즉 개별 경제 주체들의 경제활동 상태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제6장과 제7장은 개별 근로자의 노동상태에 따른 임금근로자 및 비임금근로자의 일자리 근로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제8장은 패널자료의 동학(dynamics) 분석을 통해 개별 경제 주체들의 동태적 경제활동 상태 변화를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둔다. 제9장은 의사결정 부가조사 기초분석 자료이다. 본 보고서에서 사용된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1~20차년도(1998∼2017년) 자료이다. 세부적으로 조사 개요 부분인 제2장 제1절∼제5절은 추가표본을 제외하고 1차년도에 설계된 98표본(5,000가구 기준) 위주로 분석하였다. 제2장 제6절, 제3장∼제8장은 전국 단위의 통계를 보여주기 위해, 2009년에 추가된 표본을 포함한 통합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통합 1∼9차년도(2009∼2017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목차
요 약 i 제1장 머리말 (김유빈) 1 제2장 한국노동패널 20차 조사의 개요 (이지은) 4 제1절 한국노동패널조사란? 4 제2절 한국노동패널 자료의 구성 6 제3절 조사 방법과 조사 결과 8 제4절 응답가구와 가구원의 특성 15 제5절 이사 및 분가 가구와 신규 조사자의 특성 20 제6절 통합표본 자료의 특성 28 제3장 조사가구의 특성 (이혜정) 40 제1절 가구 및 세대 구성 40 제2절 가구주 및 가구원의 특성 45 제3절 가구원의 출생과 사망 48 제4장 가계경제 (이혜정) 51 제1절 가구소득 52 제2절 가구지출 56 제3절 주거 형태 및 비용 63 제4절 자산 및 부채 68 제5절 자녀 교육비 73 제5장 개인의 경제활동 상태 (신선옥) 76 제1절 경제활동 상태 76 제2절 취업자의 특성 80 제3절 미취업자 85 제6장 임금근로자의 특성 (정현상) 90 제1절 임금근로자의 특성 91 제2절 근로시간 94 제3절 임 금 99 제4절 비정규직 근로자 105 제7장 비임금근로자의 특성 (정현상) 109 제1절 종사상 지위 110 제2절 근로시간 112 제3절 월평균 소득 116 제4절 사업체의 창업 120 제8장 경제활동 상태의 동태적 변화 (이지은) 122 제9장 전략적 사고 (최승주) 129 제1절 후진귀납법 130 제2절 내적 전략사고 134 제3절 눈을 통해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 137 참고문헌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