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연구보고서연구보고서 2022-03

근로연령층 사회보장 현황과 복지-고용서비스 연계 방안

청구기호
연구보고 2022-03
발행사항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형태사항
184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포함
ISBN
9788968278587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1857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185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근로연령층(만 19∼64세 이하) 대상의 사회보장제도는 급여 면에서 노인에 비해 열악하고 동시에 적용 사각지대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근로연령층의 사회보장 문제는 단기간에 해소하기 어려우며, 소득보장제도만으로 해소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넓은 의미에서 고용복지서비스는 돌봄, 교육, 주거, 건강 등 여러 사회서비스 영역과의 연계를 포괄한다고 볼 수 있으며, 복지와 고용 간 연계를 위해서는 사회보장법에서 정하고 있는 사회서비스 범주를 광의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우리 연구는 사회보장제도, 특히 복지 및 고용보장제도를 중심으로 근로연령층이 경험하고 있는 사각지대, 복지 및 고용보장 서비스 등의 현황 및 한계를 분석하고, 근로연령층 대상 복지 및 고용보장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계 방안으로 (가칭)국민(기본)생활(보장)지원제도를 도입과 함께 대상과 지원규모 확대가 필요하며, 또한 노동시장 참여 이후 발생하는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의 양극화 양상을 상쇄하기 위해서 주요 서비스의 공공화를 통한 가계지출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 등을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6 제3절 기대 효과 및 연구 한계 19 제2장 한국의 복지 및 고용서비스 현황과 연계 필요성 21 제1절 복지서비스와 고용서비스 관련 현황 23 제2절 복지 및 고용서비스 연계 필요성 38 제3장 취약계층 고용서비스 해외 사례 51 제1절 서론 53 제2절 호주와 영국의 취약계층 고용서비스 지원제도 54 제3절 호주와 영국의 취약계층 고용연계 복지급여 현황 68 제4절 소결 92 제4장 근로연령층 사회보장 실태 95 제1절 근로연령층 사회보장 수급 실태 97 제2절 근로연령층 개인 및 가구 특성 106 제3절 소결 132 제5장 복지 및 고용서비스 연계전략 135 제1절 고용이행기 복지?고용서비스 연계전략 137 제2절 근로연령층 지출 경감을 통한 복지?고용서비스 연계 145 제6장 주요 연구 결과 및 정책제언 157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59 제2절 정책제언 163 참고문헌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