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주요국 사회보장제도 2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독일의 사회보장제도

청구기호
362.9 주요2018 v.2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8
형태사항
716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 포함
ISBN
978893008944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20003567대출가능-
지금 이용 불가 (1)
한국노동연구원20003634대출중2019.08.13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2000356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2000363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19.08.13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세계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보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미래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는 비약적인 경제성장과 민주화, 그리고 IMF 경제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도입되었고, 여러 정권에 걸쳐 현재까지 그 규모나 범위 면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하지만 소득불균형 등 기존 사회문제를 해결한 대책을 마련하기도 전에 고령화 및 저출산과 실업 등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직면하게 되면서, 현재 우리나라는 그 어느 때보다 사회복지에 대한 논의가 절실해졌다. 또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의 주요국에서 ‘사회복지가 곧 국가경쟁력’이라는 등식이 성립할 만큼 사회복지는 가장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떠올랐으며, 이에 따라 각국의 실정에 맞는 복지국가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런 추세 속에서 우리나라는 어떤 복지국가의 형태를 띠게 될 것인가? 이러한 기대와 우려에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세계 주요 국가별 사회보장제도의 역사와 현황을 살피고 각 복지국가 모델을 분석하여, 총 12권으로 구성된 《주요국 사회보장제도》 총서를 발간하였다. 2012년 발간된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를 개정한 이번 총서는 각국 사회보장제도의 최신 데이터와 동향을 총망라했다. 더욱이 이번 총서에는 브라질의 사회보장제도를 분석한 《브라질의 사회보장제도》가 추가되어, 한국을 비롯해 네덜란드, 독일, 미국, 브라질, 스웨덴, 영국, 이탈리아, 일본, 중국, 프랑스, 호주 등 총 12개국의 사회보장제도의 면면을 살피고 다양한 복지국가 모델이 우리나라 사회복지에 시사하는 점을 짚어 준다. 이들 국가의 사회보장제도가 발전해 온 역사뿐만 아니라 각국에서 시행된 개별 정책의 결과까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주요국 사회보장제도》 총서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 복지국가의 모습을 논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준점이 되어 줄 것이다. 《주요국 사회보장제도》 각 권의 구성 《주요국 사회보장제도》 총서의 각 권은 개별 국가 사회보장제도의 현황과 구성을 세 부로 나누어 살핀다. 1부 ‘사회보장제도 총괄’에서는 사회보장제도의 역사 및 최근 동향을 개괄하고 사회보장제도의 기본 구조, 그리고 경제ㆍ고용ㆍ소득분배, 인구, 재정 등 환경을 살펴본다. 2부 ‘소득보장제도’는 공적연금, 고용보험과 고용정책, 산대보험, 가족수당, 공공부조를 포괄하여 소득보장제도 전반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3부 ‘의료보장 및 사회서비스’에서는 의료보장제도와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서비스, 아동 및 보육서비스, 주택 및 주거서비스를 중심으로 사회서비스를 살펴본다. 비스마르크형 복지국가의 원형, 독일의 사회보장제도 독일은 세계 최고 수준의 사회보장제도를 구축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독일은 사회보험에 중점을 둔 비스마르크형 복지국가의 원형으로, 공급 방식 중 사회보험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족, 일자리, 교육 등 인적자본을 형성하게 하는 적극적이고 생산적인 급여들이 이를 보완한다. 따라서 이러한 독일 사회보장제도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사회복지 관련법들을 하나의 법전으로 편찬한 〈사회법전〉은 독일 사회보장제도의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개별법의 규정 간에 내적 통일성을 갖추기 위한 이러한 노력이 한국에서도 절실하다는 시각에서 《독일의 사회보장제도》는 이를 하나의 장으로 구별하여 자세히 논한다.
목차
머리말 5 제 1 부 사회보장 총괄 1장 사회보장의 역사적 전개│김원섭 17 2장 사회보장제도의 기본구조│유근춘 57 3장 경제여건과 소득분배구조│김진수 89 4장 인구구조의 변화와 전망│김근홍 125 5장 정부재정과 사회보장재정│김상철 165 6장 최근 사회보장 개혁동향│박명준 205 7장 〈사회법전〉의 체계와 주요 내용│박지순 235 제 2 부 소득보장제도 8장 공적연금제도│김상호 279 9장 고용보험제도 및 고용정책│정연택 317 10장 산재보험제도│윤조덕 357 11장 가족수당제도│박경순 395 12장 공공부조제도│심성지 435 제 3 부 의료보장 및 사회서비스 13장 보건의료제도│오윤섭 471 14장 의료보장제도│이용갑 509 15장 장기요양보장제도│남현주 543 16장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서비스│박수지 575 17장 장애인 복지서비스│남용현 603 18장 아동 및 보육서비스│이진숙 643 19장 주택 및 주거서비스│이신용 671 주요 용어 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