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연구보고서 2017-24

지속가능한 돌봄정책 재정립방안 연구(Ⅰ): 여성·가족 관점의 진단과 정책과제

청구기호
연구보고 2017-24
발행사항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형태사항
318 p
ISBN
9788984918900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1603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1603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저출산의 지속, ‘삼포세대’를 넘어 ‘오포세대’의 등장, 아동학대와 노인자살의 심각성은 한국사회의 ‘가족’이 지속불가능한 한계에 도달하고 있음을 보여줌. 저출산·고령화로 위기감은 이미 십여년전부터 예고되어 왔고, 그 대응책으로 실제로 한국사회에서 지난 10년간 돌봄정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나, 각 정책들은 각각의 영역내에서 확장되어 정책목표와 지향점이 혼재되어 가족의 ‘돌봄’을 지원하기 위한 ‘돌봄정책’으로서의 지향점이 부재함. □ 이와 같이 ‘돌봄정책’으로서의 지향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성·가족의 관점에서 정책 확장을 재구성해볼 필요가 있음. ‘돌봄(care)’은 페미니즘에 기원을 가진 개념으로(Daly, 2002), 공식과 비공식돌봄, 아동과 노인돌봄, 무급과 유급돌봄을 파편적으로 살펴볼 것이 아니라, 복지국가의 주요한 정책영역으로서 포괄적으로 정의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음(Daly & Lewis, 2000: 285-286). 실제로 한국사회에서 돌봄정책의 확장으로 인해, 돌봄노동은 가족 내 비공식 영역, ‘보이지 않던’ 영역에서 가족 밖으로 ‘공식화’되고 있음. 여성·가족의 관점에서 이와 같은 돌봄노동의 일련의 ‘공식화’ 과정은 여성의 가족내 돌봄노동의 부담을 줄여주거나 수행하던 돌봄노동의 가치를 인정받는 과정일 수 있으나, 다른 한편 여성에게 또다른 형태의 저임금 일자리를 제공하는 ‘덫’으로 작용할 우려도 있음. 따라서 돌봄노동이 탈가족화되는 일련의 정책 스펙트럼을 살펴보고, 정책 스펙트럼에 따라 돌봄정책을 분류하여 정책현황을 분석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새 정부가 출현하여, 전반적인 돌봄정책의 기조를 점검해보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으로, ‘저출산·고령화’ 정책의 추동 속에서 지난 10년간의 정책이 적절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 개별 정책목표가 아니라 한국의 ‘가족’과 ‘가족정책’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정책의 현 지점을 진단하고, 한국사회의 사회적, 제도적 한계 내에서 돌봄의 사회화·공공화(‘going public’)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목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3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5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돌봄정책 개관 / 11 1. 선행연구 검토 및 개념정의 / 13 가. 여성·가족 관점의 돌봄의 개념과 탈가족화 / 13 나. 지속가능한 돌봄정책 / 14 다. 영역별 돌봄정책 연구 / 17 2. 돌봄정책 프레임의 변화: 가족관련 기본정책을 중심으로 / 18 가. 돌봄 담론의 부상과 관련정책의 전개과정 / 18 나. 돌봄정책의 프레임 변화 / 37 다. 소결 / 57 3. 돌봄정책 욕구 프로파일 분석 / 61 Ⅲ. 돌봄정책 제도 현황: 탈가족화 및 공식화 관점에서 / 77 1. 돌봄정책 분석틀 구성 / 79 2. 아동돌봄정책 / 87 가. 제도개요 및 발달 개관 / 87 나. 급여의 다변화 및 종류별 대상 확대 / 98 다. 전달체계 / 135 라. 재원 / 162 마. 소결 / 171 3. 노인돌봄정책 / 174 가. 제도개요 및 발달 개관 / 176 나. 급여의 다변화 및 종류별 대상 확대 / 184 다. 전달체계 / 210 라. 재원 / 231 마. 소결 / 237 Ⅳ. 결론 및 정책제언 / 241 1. 연구요약 / 243 가.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 243 나. 선행연구 검토 및 돌봄정책 개관 / 245 다. 돌봄정책 제도 현황: 탈가족화 및 공식화 관점에서 / 253 2. 정책제언 / 261 가. 돌봄정책 탈가족화 수준에 따른 정책방향 / 261 나. 가족정책과 돌봄 프레임 재구조화 / 273 * 참고문헌 / 275 * 부 록 / 293 1. 전문가조사 결과 / 295 * Abstract /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