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연구보고서 2017-52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IV):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청구기호
연구보고 2017-52
발행사항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형태사항
428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포함
ISBN
9788968274848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1631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1631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한국인이 경험하는 불안과 불신, 불만이라는 사고방식의 현상과 관계를 분석하여, 한국 사회의 통합 증진을 위한 단초를 쌓아 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의 성인 남녀 3,839명을 대상으로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트라우마 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 분석, 물질적 박탈과 정신건강의 관계, 사회갈등과 정신건강의 관계, 사회적 불안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조기 개입과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강화와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 복지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영향도가 달랐으므로 개별화된 접근이 제안되며, 사회통합 증진을 위해 사회구조의 정상적인 작동에 대한 믿음을 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사회갈등 인식, 그리고 이러한 갈등을 해결해 가는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부가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3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16 제3절 조사 설계 및 내용 18 제2장 이론적 배경: 사회통합 개념의 확대를 위한 시도 37 제1절 사회통합 개념의 이론적 검토 39 제2절 사회통합과 사회병리의 관계 45 제3장 트라우마 경험과 정신건강 간 관계 5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3 제2절 연구 방법 56 제3절 분석 결과 60 제4절 소결 75 제4장 물질적 박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7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9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80 제3절 박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84 제4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00 제5장 갈등과 정신건강의 사회경제적 맥락과 사회통합 103 제1절 서론 105 제2절 이론적 배경 107 제3절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과 경험 109 제4절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정신건강 125 제5절 갈등과 정신건강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 130 제6절 소결과 정책 시사점 136 제6장 사회적 불안과 사회통합: 사회구조 인식의 영향 분석 14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43 제2절 연구 개요 및 모형 145 제3절 분석 결과 149 제4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67 제7장 결론 및 연구 함의 171 제1절 연구 요약 173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정책 제언 176 참고문헌 183 부 록 부록 1.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 설계 191 부록 2.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204 부록 3.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초 분석 224 부록 4. 사회통합 정책영향평가 4개년 지속 문항 비교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