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연구보고서 2009-18

한국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연구

청구기호
연구보고 2009-18
발행사항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9
형태사항
254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수록
ISBN
9788961135207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1277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127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목차
Ⅰ. 서 론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 내용 및 방법 5 가. 국내외 사회적 자본 측정 및 활용 현황 분석 5 나. 사회적 자본 측정 도구 타당성 검토 및 개발 6 다. 한국의 사회적 자본 조사 및 결과 분석 7 라. 사회적 자본 육성을 위한 교육 정책 과제 및 제언 도출 8 Ⅱ. 이론적 배경 11 1. 사회적 자본과 시민역량 교육 11 가. 사회적 자본의 개념 11 나. 사회적 자본과 생애핵심역량 13 다. 교육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18 2. 사회적 자본 교육정책 연구의 방향 19 가. 1999-2002년간 사회적 자본 교육정책연구 21 나. 2003-2007년간 사회적 자본 교육정책연구 23 다. 2007-현재까지의 사회적 자본 교육정책연구 27 3. 본 연구의 관점 34 가.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종적 및 횡적 비교 준거 활용 34 나. 한국 교육의 사회적 자본 효과 분석 37 다.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유형과 변화 분석 40 Ⅲ. 측정도구 개발 및 조사 절차 43 1. 측정도구 개발 43 가. 홍영란 외(2007) 연구의 측정 틀 분석 및 보완 43 나. 홍영란 외(2007) 연구의 측정 도구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48 다. 국제비교 조사도구 등을 활용한 측정도구 개발 50 라. 사회적 자본 핵심능력 측정도구 개발 53 마. 측정도구의 구성 54 2. 조사 방법 및 절차 57 가. 조사대상 및 표집방법 57 나. 조사 기간 58 다. 조사 절차 58 3. 결과 분석 방법 59 가. 한국의 사회적 자본 영역별 실태 분석 59 나. 교육의 사회적 자본 효과 분석 61 다.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유형별 분석 61 Ⅳ. 결과분석 65 1. 사회적 자본의 영역별 실태 분석 65 가. 사회참여 및 시민참여 영역 65 나. 신뢰, 호혜성 및 관용 77 다. 네트워크 및 사회적 지원 91 라. 사회적 자본 관련 핵심 능력 106 마. 삶의 질 112 바. 상관관계 114 2. 교육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115 가. 사회참여 및 시민참여 영역 115 나. 신뢰, 호혜성 및 관용 120 다. 네트워크 및 사회적 지원 123 라. 삶의 질 124 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125 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126 3. 사회적 자본의 유형별 프로파일 분석 128 가. 사회적 자본 유형과 프로파일 128 나. 사회적 자본 유형별 분포의 변화추세 132 다. 사회적 자본 유형과 핵심 능력의 관계 135 4.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8 가. 사회적 자본의 각 영역별 실태분석 138 나. 교육의 사회적 자본 효과 분석 141 다. 사회적 자본 유형별 분석 143 Ⅴ. 정책 제언 149 1. 기본 전제 149 2. 정책 과제 150 가. 사회적 자본 육성을 위한 평생학습 지원 체제 구축 150 나. 생애발달 단계를 고려한 시민역량 교육내용의 개발 152 다.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위한 내면화 교육 153 라. 참여와 공헌을 통한 사회적 기부 교육 154 마. 공동체와 다양성에 대한 신뢰 및 소통 교육 155 바. 지역 혁신과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학습 네트워크 구축 157 사. 사회적 자본 육성을 위한 교육․고용․복지 정책의 연계 159 3.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 161 참고문헌 163 부 록 173 【부록 1】국제비교조사에서의 사회적 자본 측정 동향 175 【부록 2】홍영란 외(2007)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182 【부록 3】측정 영역별 국제비교조사 문항요약 및 출처 190 【부록 4】연령에 따른 사회적 자본 관련 핵심능력 차이검증 200 【부록 5】학력에 따른 사회적 자본 문항별 평균 비교 및 검증 결과 204 【부록 6】사회적 자본의 국제비교에서 국가별 평균 및 비율 비교표 227 【부록 7】학력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국제비교에서 국가별 평균 및비율 비교표 234 【부록 8】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조사(본조사 설문지)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