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노동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연구보고서 2012-625

산업융합시대의 지역산업생태계 육성방안

Regional industrial ecosystem in the age of industrial convergence

청구기호
연구보고 2012-625
발행사항
서울 : 산업연구원, 2012
형태사항
255 p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부록 포함
ISBN
9788959924707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노동연구원5201582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520158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노동연구원
책 소개
생태계는 기본적으로 생태계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의존, 공생, 공진화(co-evolution), 경쟁과 협력, 가치창출과 가치공유 등 을 핵심 키워드로 한다. 이러한 생태계의 핵심개념들이 경제· 산업 분야에서 주요하게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기업 간 물자 및 에너지의 흐름을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산업생산에서 가치사슬의 분화로 기업 간 상호의 존성이 커진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산업과 기술의 융합화가 산업발전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를 잡음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융복합이 활성화될 수 있기 위한 산업환경에 대해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것도 주요한 배경이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구성 제2장 산업의 융합화와 산업발전 패러다임의 변화 1. 산업 융합화의 배경과 중요성 2. 산업발전 패러다임의 변화 3. 산업융합을 촉진하기 위한 산업정책 방향과 지역산업 정책에의 시사점 제3장 지역산업생태계 관련 이론적 검토 1. 기업생태계 (1) 기업생태계의 개념과 특징 (2) 기업생태계의 발전단계 (3) 기업생태계의 유형 구분 (4) 기업생태계와 유사 개념과의 비교 (5) 기업생태계가 지역산업정책에 주는 시사점 2. 클러스터 (1) 클러스터의 개념 (2) 클러스터의 구조와 특성 (3) 클러스터 정책 (4) 기업 간 관계가 기업생태계 및 클러스터에 미치는 영향 3. 산업생태계론 (1) 산업생태계의 개념과 구조 (2) 산업생태계의 통합적 접근 및 특성 (3) 산업생태계론과 지역산업정책에의 시사점 제4장 지역산업정책의 전개과정과 지역산업생태계론으로의 진화 필요성 1. 클러스터에 기반한 지역산업정책의 전개과정 (1) 지역산업정책의 개념과 특징 (2) 우리나라 지역산업정책의 전개과정 2. 클러스터 정책의 실제 적용과 특징 3. 지역산업생태계론으로의 진화 필요성 (1) 산업과 기술의 융합화에 따른 패러다임의 변화 (2) 산업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한계 극복 (3) 지역발전 연계성 및 동태적 발전역량 제고 제5장 지역산업생태계의 기본구조와 건강성 진단방법 1. 지역산업생태계의 개념과 특징 (1) 지역산업생태계의 개념 (2) 지역산업생태계의 연계구조 (3) 지역산업생태계와 클러스터 간 유사성과 차별성 2. 지역산업생태계 구조의 분석방법-미시적 지역산업 생태계를 중심으로- 3. 지역산업생태계의 건강성 진단방법 (1) 기업생태계의 건강성 진단요소 (2) 지역산업생태계의 건강성 진단방법 제6장 풍력산업의 지역생태계 분석 사례와 시사점 1. 분석 개요 (1) 사례 분석방법 (2) 풍력산업의 개념과 범위 2. 풍력산업의 지역생태계 구조와 특징-동남권과 호남권을 중심으로- (1) 가치사슬구조 (2) 기업 간 연계구조 (3) 혁신자원 및 혁신활동의 특징 3. 풍력산업 지역생태계의 건강성 비교분석 (1) 성장성/생산성 (2) 강건성 (3) 혁신성 4. 소결 및 정책시사점 제7장 지역산업생태계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1. 지역산업생태계론의 정책적 함의 2. 주요 정책과제 (1) 지역 경제권역 내 산업 연관관계 강화 (2) 지역 내 상생의 기업생태계 구축 (3) 혁신자원의 경쟁력 강화 및 혁신활동의 활성화 (4) 지역산업생태계 육성 중심의 지역산업 지원사업 개편 (5) 분권형 지역산업 거버넌스 구축 3.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Abstract